사업 소개
환경교육사는 「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(구 환경교육진흥법), '22.1.6. 전부개정)」 제16조에 근거하여 양질의 양성과정을 통해 환경교육 전문가를 양성하고, 환경교육의 질과 신뢰성을 높임으로써, 국민에게 더 나은 환경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
등급별 역할
자격을 취득한 후에는 가장 기초적이지만 핵심적인 환경 봉사활동부터 환경교육 강사활동, 환경교육과 관련된 기획 · 경영, 사업 등의 활동, 환경교육관련 정치 · 경제 · 사회적 영역까지 다양한 분야에 진출하여 활동할 수 있습니다.
-
- 환경교육사 1급
- 환경교육의 경영 · 관리자
-
- 환경교육사 2급
- 환경교육프로그램의 기획 · 개발자
-
- 환경교육사 3급
- 환경교육프로그램의 수행 · 운영(교육자)
자격취득 절차
-
- 이력등록
- 국가환경교육 통합플랫폼 회원가입 후 이력등록
-
- 교육신청
- 희망 양성과정 교육신청
-
- 출석 및 평가
-
- - 교육과정별 출석률 80% 이상 (다만 온라인식 100% 출석)
- - 필기평가 : 과목점수 40점 이상이면서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
- - 실기평가 : 급수별 상이
-
- 자격제한사항 조회
- 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16조 제2항에 따른 자격제한 조회
-
- 합격
- 양성기관별 자격증 발급
-
- 보수교육
- 자격 취득일로부터 3년마다 1일(7시간) 보수교육 이수(의무)
취득자 현황
환경교육사 시범운영 포함 현재 2급 367명, 3급 2,804명을 양성하여 총 3,171명의 지도자를 배출하였습니다. ('25. 01. 01 기준)
('25. 01. 기준 / 단위:명)


-
수도권 1,496명2급 : 203명 3급 : 1,293명
-
강원권 128명2급 : 10명 3급 : 118명
-
충청권 407명2급 : 72명 3급 : 335명
-
호남권 335명2급 : 51명 3급 : 284명
-
영남권 734명2급 : 31명 3급 : 703명
-
제주권 71명3급 : 71명
양성기관 현황
환경교육사 제도는 시범운영('15~'16)을 거쳐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었습니다. 2017년부터 양성과정 지정·운영이 시작되어, 현재 총 13개 기관에서 환경교육지도자 양성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
22급 | |||
---|---|---|---|
![]() |
광덕산환경교육센터 | 충남 천안시 | 041-572-2535 |
33급 | |||
---|---|---|---|
![]() |
수원시기후변화체험교육관 | 경기 수원시 | 031-273-8320 |
![]() |
경상남도환경교육원 | 경남 산청군 | 055-254-4033 |
![]() |
인천업사이클에코센터 | 인천 미추홀구 | 032-212-5300 |
![]() |
(재)경상북도환경연수원 | 경북 구미시 | 054-440-3212 |
![]() |
(사)자연의벗연구소 | 서울 마포구 | 02-3144-7877 |
![]() |
부산대학교 (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) |
부산 금정구 | 051-510-2707 |
![]() |
맹상환경생태학습원 | 경기 성남시 | 031-702-1192 |
![]() |
청주국제에코콤플렉스 | 충북 청주시 | 043-276-8100 |
![]() |
대구환경교육센터 | 대구 달서구 | 053-752-3557 |
![]() |
시흥에코센터 | 경기 시흥시 | 031-431-5005 |
![]() |
원주지속가능발전협의회 | 강원 원주시 | 033-747-3649 |
![]() |
(재)전라남도환경산업진흥원 | 전남 강진군 | 061-430-8360 |
22급 |
---|
![]() 광덕산환경교육센터 충남 천안시 041-572-2535 |
![]() (사)녹색교육센터 서울 종로구 02-6497-4856 |
33급(정규) |
---|
![]() 수원시기후변화체험교육관 경기 수원시 031-273-8320 |
![]() 경상남도환경교육원 경남 산청군 055-254-4033 |
![]() 인천업사이클에코센터 인천 미추홀구 032-212-5300 |
![]() (재)경상북도환경연수원 경북 구미시 054-440-3212 |
![]() (사)자연의벗연구소 서울 마포구 02-3144-7877 |
![]() 부산대학교(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) 부산 금정구 051-510-2707 |
교육내용
양성과정(보수교육 포함)의 수수료는 시간 당 10,000원으로 책정합니다. 1급 과정 120만원, 2급 과정 144만원, 3급 과정 144만원입니다.
※ 1급의 경우 미운영중
-
생태문명의 이해 9시간 조직 운영 및 인재관리 9시간 사회적 경제 이해 6시간 회계 및 재무관리 9시간 환경교육과 리더십 6시간 -
환경교육 현황과 진단 9시간 환경교육 세미나 12시간 환경교육 시설 계획 및 실습 12시간 환경교육 협력과 네트워크 12시간 경영 진단과 전략 수립 24시간 선택교과 24시간 -
총계
-
기본 39시간 이상
-
실무 81시간 이상
-
-
환경과 사회 6시간 통합적 환경탐구 15시간 환경교육정책 및 법규 6시간 기후위기와 탄소중립 12시간 인적자원 관리 9시간 -
지역 환경교육 현장 연구 12시간 환경교육 사업 기획, 평가 24시간 환경교육 홍보・마케팅 9시간 환경교육프로그램 컨설팅 12시간 환경교육 전시 관리 9시간 선택교과 30시간 -
총계
-
기본 48시간 이상
-
실무 96시간 이상
-
-
환경과 철학 6시간 환경교육론 12시간 환경생태학 12시간 생활환경문제와 환경보건 15시간 기후위기와 지구환경문제 9시간 -
환경교육 교수학습방법 18시간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24시간 지역환경문제 탐구 12시간 환경교육과 의사소통 12시간 안전사고 예방과 응급처치 6시간 선택교과 18시간 -
총계
-
기본 54시간 이상
-
실무 90시간 이상
-
등급별 자격기준
-
1급
- 환경교육사 2급 자격증을 취득한 후 환경교육 관련 업무에 3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사람으로서 환경교육사양성기관에서 운영하는 환경교육사 1급 양성과정을 이수한 사람
- 환경교육 관련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환경교육사양성기관에서 운영하는 환경교육사 1급 양성과정을 이수한 사람
-
2급
- 환경교육사 3급 자격증을 취득한 후 환경교육 관련 업무에 3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사람으로서 환경교육사양성기관에서 운영하는 환경교육사 2급 양성과정을 이수한 사람
- 환경교육 관련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환경교육사양성기관에서 운영하는 환경교육사 2급 양성과정을 이수한 사람
- 환경교육 관련 업무에 6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사람으로서 환경교육사양성기관에서 운영하는 환경교육사 2급 양성과정을 이수한 사람
-
3급
- 환경교육사양성기관에서 운영하는 환경교육사 3급 양성과정을 이수한 사람
비고
- 환경교육 관련 업무란 공공교육기관 또는 사회환경교육기관ㆍ단체 등에서 시행하는 환경교육프로그램의 기획ㆍ진행ㆍ분석ㆍ평가 업무 또는 환경교육 업무를 말한다.
- 환경교육사양성기관에서 운영하는 환경교육사 양성과정의 교육내용, 이수요건, 평가 방법 등 구체적인 사항은 환경부장관 또는 해양수산부장관 (해양환경분야만 해당한다)이 정하여 고시한다.
자격 관련 세부기준
내용 | 학력인정 분야 | 경력인정 분야 |
---|---|---|
자격기준 |
|
|
인정범위 |
|
|
인정주체 |
|
|
증빙자료 |
|
|
학력인정 분야 |
---|
자격기준 |
|
인정범위 |
|
인정주체 |
|
증빙자료 |
|
경력인정 분야 |
---|
자격기준 |
|
인정범위 |
|
인정주체 |
|
증빙자료 |
|